간호사들은 종종 윤리적인 딜레마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러한 딜레마들은 환자의 이익과 안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간호 윤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목차
-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간호사가 간호업무 수행 중에 직면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유형은 두 가지 윤리 원칙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하는 갈등,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두 가지 가능한 행동 사이에서의 갈등, 어떤 상황에서 행동할 것인지 숙고할 것인지에 대한 갈등, 불만족스러운 두 가지 대안 사이에서의 갈등, 윤리 원칙과 역할 책임 사이에서의 갈등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갈등들은 단순하지 않고 혼란스럽고 복잡해서 간호 사의 윤리적 딜레마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사회적․제도적 구조와 역할 갈등은 이러한 갈등 문제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구체적인 딜레마 상황은 치료중단, 적극적인 처 치를 통한 생명연장, 제한된 자원분배, 동료의 비윤리적 행동, 임신중절의 상황이 있었고, 말기환자에게 사실말하기, 기형아의 출생, 강제투약, 죽음을 요 구한 성인, 투약과오, 신규간호사의 오리엔테이션 등이 있었다. 또 신의와 관련된 비밀유지, 의사의 권위에 대한 개인적 갈등,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연장, 임신중절, 안락사 등과 제도와 관련된 문 제, 생명지지 기재를 제거한 경우, 의사의 권위에 대한 개인적 갈등, 말기환자에 대한 적극적 치료 등이 있었다. 진실말하기, 비동등한 간호, 사업적 가치와 전문적 가치의 갈등, 규칙을 어긴 것에 대한 보고 등도 윤리적 딜레마 상 황으로 보고되었다.
2.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전문직 간호사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것이며 전문직 간호의 보증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의사결정 참여는 전문직 간호의 발전과 양질의 간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것임이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간호사들은 병원 내에서 의사결정 과정에 거의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병원은 권위와 더불어 보수적인 직업적 구조를 유지하며 직위 및 자 격이 인정된 소수의 사람에게만 권리를 부여하여 왔다. 그 결과 간호사는 환자의 안녕과 안위를 위해 무거운 책임을 지고 있으나 도덕적 의사결정을 위한 책임이나 기회는 제공받지 못하였고 도덕적으로 성장하는데 자유롭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들은 점차 기업화되고 있는 의료와 기관의 목표 그리 고 양질의 간호목표 사이에서 더욱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간호사들이 환자를 위해 내린 윤리적 의사결정의 규범은 근본적으로 간호사들의 선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간호사와 간호사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더구나 간호사들은 그들의 직업적 업무의 한계 때문에 그들이 옳다고 믿는 것 을 그대로 실행하는데 제한을 가지고 있다.
3.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지침으로 Cameron(2000)이 개발한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모형은 원칙주의의 객관적(objective)이고 공평한 (impartial) 그리고 일반적(impersonal)인 태도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돌봄의 주관적( subjective)이고, 불공평(partial)하고, 개인적(personal)인 접근을 사용하고 있다. 이 모형에서는 덕 윤리에 근거한 세 개의 아리스토텔레스 유형의 질문을 제기하였다.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는가?(What should I value?) 첫 번째 질문에서 연구자들은 보다 크고 목적 있는 삶의 형상으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덕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진행되는 근거에서 돌봄, 정의, 해를 끼치지 않는 것, 선을 베푸는 것, 진실을 말하는 것과 같은 인생에 의미를 주고 윤리적으로 정당한 가치를 개발한다.
나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Who should I be?) 두 번째 질문에서 연구자들은 질문 1에 반응해서 개발된 덕목과 조화를 이루어 살아감으로써 통합성을 가지고 행동하는 선한 사람이 되기를 원했다. 이러한 행동 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덕과 통합된다. 진행되는 근거에서 질문 1에서부터 나 오는 가치에 따라서 통합성을 가지는 탁월한 인격을 개발한다.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What should I do?) 세 번째 질문에서 연구자들은 질문 1에서 나온 가치를 설명할 수 있고, 질문 2에 서 나온 그들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실제적인 해결책을 개발하기를 원했다. 이러한 합리적인 행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계산적 논변과 유사하다.
Value, Be, Do 모형은 인간의 경험을 반영하고 인간문화에 적응시키기 때문에 실제적이다. 모형은 외적인 가치를 부가하기보다는, 내적인 가치 개발을 권장한다. 세 개의 질문은 윤리적 언어 대신에 매일이 일상언어로 쓰였다. 그래서 질문은 비록 답하기가 어려울지라도 이해하기는 쉽다. 무엇보다 모형은 원칙주의, 윤리적 돌봄, 덕 윤리를 통합시켰기 때문에 포괄적이다. 선형적이거나 위계적이지 않으면서, 세 가지 질문은 상호 연결되었다. 각 질문에 대한 답은 다른 2개의 질 문에 대한 답에 영향을 준다. 비록 질문은 계속 남아있다 할지라도, 다른 개인의 가치가 변함에 따라 발전된다고 하였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 및 영향요인 (0) | 2023.07.01 |
---|---|
지역사회 간호학 - 로이의 적응이론 (0) | 2023.06.30 |
지역사회 간호 - 범이론적 모형 (0) | 2023.06.28 |
지역사회간호 - 사회생태학적 모델 (0) | 2023.06.27 |
지역사회간호 - 베티 뉴만의 건강관리체계이론 (0) | 2023.06.25 |